하이패스는 많은 운전자들의 필수품입니다. 금액 충전 걱정 없이 후불제로 결제되어 편리하고 통행료 미납 일이 없어 안전하게 운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선불식 하이패스 카드와 하이패스 후불카드 두 종류가 있는데요. 선불식 하이패스는 한국 도로공사와 교통카드사에서 발급하는 카드이며 하이패스 카드에 일정금액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선불식 하이패스 카드입니다.
하이패스 후불카드 추천
신한카드 후불 하이패스+ (하이패스 전용)
신한카드 후불하이패스+ 는 연회비 부담 없이 하이패스 전용 후불카드로 사용하더라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이패스 이용 시 적립형식의 신용카드로 포인트의 경우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정해져 있는 출퇴근 시간에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과 카드의 할인혜택이 중복 적용됩니다.
- 연회비 : 국내전용 2000 원
- 전월실적 없음
- 하이패스 0.1% 마이신한포인트 적립
- 하이패스 출퇴근 시간대 통행료 20~50% 할인
- 판교 <> 청계 / 판교 <> 성남 / 연계 통행료 자동 면제
- 대상 구간 : 한국 도로공사 관리 고속도로 진입 출입 요금소 간 거리 기준 20km 미만
- 할인대상 : 1 ~ 3종 차량 (하이패스차로 정상 이용 시 자동할인)
- 출근 시간 : 5 ~ 7시 할인률 50%, 7 ~ 9시 할인률 20%
- 퇴근시간 : 18 ~ 20시 할인률 20%, 20 ~. 2시 할인률 50%
신한카드 하이패스 (전용) 체크카드
신한카드 하이패스 (전용) 체크카드는 연회비 없이 신용카드와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와 차이점은 2개월까지 사용하는 데 전월실적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개월 후 전월실적 10만 원 이상 되어야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이패스 금액 이용 후 2~ 3일 후 자동으로 출금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신한은행에 체크카드를 보유하고 있어야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 연회비 없음
- 전월실적 없음 (부분 전월실적 필요)
- 카드 유효기간 10년
- 하이패스 이용요금의 0.1% 포인트 적립
- 하이패스 출퇴근 시간대 통행료 20 ~ 50%
- 판교 <> 청계 / 판교 <> 성남 / 연계통행료 자동 면제
- 대상 구간 : 한국도로공사 관리 고속도로 진입 출입 시 요금소 간 거리 기준 20km 미만
- 할인 대상 : 1 ~ 3종 차량 (하이패스차로 정상 이용 시 자동할인)
- 출근시간 : 5 ~ 7시 할인률 50%, 7 ~ 9시 할인율 20%
- 퇴근시간 : 18 ~ 20시 할인률 20%, 20 ~ 22시 할인률 50%
신한카드 Deep Oil
신한카드 Deep Oill 카드는 주유 할인 메인 신용카드입니다. 전용 하이패스 카드를 만들 수 있지만 기존 신용카드에 하이패스 옵션과 연회비 2천 원을 추가하게 되면 신용카드에 하이패스 카드 겸용카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월실적 대비 할인 한도는 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연회비 : 해외겸용 (마스터카드) 10,000 원 / 하이패스 추가 시 12,000 원
- 전월실적 : 30만 원 이상
- GS칼텍스 / SK에너지 / S-oil / 현대 오일뱅크 등 4개의 정유사 1택 주유이용금액 10% 결제일 할인
- 스피드메이트 (정비소) 이용금액 10% 결제일 할인
- 전국 모든 주차장 10% 결제일 할인
- GS25 / CU 5% 결제일 할인
- 택시 5% 결제일 할인
- 롯데시네마 일반관 5,000 원 현장 할인
- 하이패스 추가 시 하이패스 이용요금 실적에 추가 합산
이상 하이패스 후불카드 추천과 혜택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꼼꼼하게 따져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카드 신청하셔서 챙겨가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2023년 청년희망적금 자격조건 신청방법 만기금액 확인
적금으로 청년들은 대학, 새 차, 주택 계약금 등 미래를 위해 저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청년희망적금으로 자녀의 미래를 위한 투자가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습니다. 시중은행 11개에서
hojuneed.tistory.com
2023년 전국 지역별 청년통장 총정리
청년 통장은 20~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저금리, 저금융 계좌입니다. 저축금리와 함께 청년들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며 저축을 유도하고 경제 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hojunee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