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주니드 정보이야기

2024년 경기행복주택 경기도 청년주택 자격조건 총정리

by hjriverparkview 2024. 3. 25.

주거 안정 정책들 중 거주지에 대한 부담을 낮추기 위해 찾아보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신혼부부(예비부부)뿐 아니라 대학생, 청년 등의 주거 안정을 위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인 2024년 경기행복주택. 경기주거복지포털을 통한 경기도에 특화된 상품 중 임대조건과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경기도는 전국 최초 자립준비청년 임대보증금 전액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최신 올라온 정보들을 정리해 놓았으니 꼼꼼하게 확인 바랍니다.

2024년 경기 행복주택

경기행복주택이란?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예비 신혼부부 포함) 등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서 대중교통 요지나 직주근접한 곳에 주민공동체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건설한 경기도에 특화된 공공임대 주택입니다.

  • 임대 수준 : 입주대상별 6년 ~ 20년 거주(2년마다 재계약)
  • 임대기간 : 보증금, 임대료, 시중시세의 60~80% 수준
  • 소득이 있을 경우 : 주변 시세 72% / 6년
  • 소득이 없을 경우 : 주변 시세 68% / 6년
공급대상 임대료 거주기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주변시세의 80% 자녀가 없는 경우 / 6년
자녀가 1명 이상인 경우 / 10년
산업단지근로자 주변시세의 80% 6년
고령자 주변시세의 76% 20년
창업지원주택 및 지역전략산업
지원주택의 입주자
주변시세의 72% 자녀가 없는 경우 6년
자녀가 1명 이상인 경우 10년
소득이 있는 청년 주변 시세의 72% 6년
대학생, 소득이 없는 청년 주변 시세의 68% 9년
주거급여수급자 주변 시세의 60% 20년

경기도 청년주택

경기도 행복주택 자격 조건

2024년 행복주택 자격조건은 공급 대상에 따라 다른 입주 자격이 적용되어 꼼꼼하게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방법은 사업주체인 경기주택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인터넷 청약센터 및 방문 신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경기주택도시공사 (바로가기) 한국토지주택공사 (바로가기)
신혼부부 및 한부모 가족
  • 신혼부부 : 혼인합산 기간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분들
  • 예비 신혼부부 : 입주 전까지 혼인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들
  • 한부모 가족 :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분들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내(맞벌이는 120%), 자산 3억 6,100만 원 이하, 차량 3,683만 원 이하이며 무주택 세대 구성원 본인 또는 배우자 중 1인이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되어야 합니다.

 

대학생
  • 19세 이상 39세 이하이며 총소득 기간 5년 이내 또는 퇴직 후 1년 이내, 예술인(소득기간 5년 이내)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내 (1인 가구 120%, 2인 가구 110%), 자산 2억 9,900만 원 이하, 차량 3,683만 원 이하
  • 무주택자, 혼인 중이 아닐 것,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청년 주택

고령자
  • 나이 : 만 65세 이상
  • 소득 및 자산 요건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내 (1인 가구 120%, 2인 가구 110%) 자산 3억 6,100만 원 이하, 차량 3,683만 원 이하
주거급여수급자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면서 주거급여수급권자 또는 수급자

산업단지 근로자
  • 근무 요건 : 산업단지 또는 경제 자유구역 지역에 입주한 기업에서 1년 이상 근무(예정)인 분
  • 소득 및 자산 요건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내(1인 및 맞벌이 120%), 자산 3억 6,100만 원, 차량 3,683만 원 이하

경기도 자립준비청년

경기도 청년주택 최신 정보

경기도는 전국 최초 경기주택도시공사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는 자립준비청년의 임대보증금 전액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복지시설, 그룹홈(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살 이상이 되면 홀로서기에 나서는 청년을 말합니다.

 

기존에는 임대보증금의 일부만 지원했지만 2024년 하반기부터 경기주택도시공사,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는 경우 내야 하는 최소 100만 원에서 최대 7266만 원의 표준 임대보증금 전부를 지원합니다. 현재 사업 예산은 도민환원기금을 활용하여 8억 3천만 원이 확보된 상태라고 합니다.

 

사업규모는 78 가구이며, 민간위탁심의, 위수탁 계약체결 등 행정절차를 거쳐 올 하반기부터 위탁기관을 통해 신청받게 됩니다. 자립준비청년들의 신속한 주거안정 지원을 위해 기존 경기복지재단에서 운영했던 희망디딤돌센터(화성, 고양)와 개별 민간위탁사업이었던 멘토 멘티 함께 서기, 마음건강 상담지원을 올해부터 경기도자립지원전담기관 사업으로 통합해 주거공간 24실을 운영 중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