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6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발급방법 확인하기 문화누리카드는 문화격차 해소를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법정 차상위계층에게 문화예술, 국내여행, 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는 사회적 약자인 취약계층의 문화누림 기회 증진을 위해 2023년 통함 문화 이용권 지원 인원을 263만 명에서 267만 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주요가맹점 사용처와 발급 방법, 합산에 대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신청 자격과 발급 방법 문화누리 카드 신청 자격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6세 이상, 2017.12.31 이전 출생자)이 신청 가능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조건부 수급자, 보장시설 수급자 차상위계층 : 차상위자활근로자, 장애수당 수급자, 장애아동수당 수급자, 장애인연금 부가급여.. 2023. 5. 9.
알뜰교통카드 걷거나 대중교통 이용시 마일리지 적립 신청방법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나, 자전거 걷기 등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 (교통비 20%)를 받게 됩니다. 또한, 카드사가 제공하는 추가 할인 (교통비의 약 10%)를 받게 됩니다.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매달 쌓은 마일리지는 환급되거나 자동 청구할인이 됩니다. 알뜰교통카드의 또 다른 이점은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마일리지가 더 많이 싸여서 대중교통비를 더 아낄 수 있습니다. 요즘은 마트에 가서 조금만 물건을 구입해도 금세 5만 원이 넘어버리는 고물가 시대입니다. 이용자들은 지난해 대중교통 요금을 월평균 약 13,000 원을 아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명한 소비를 위해 절약하는 청년들이 늘어나는 만큼 최대 30%까지 교통비 할인이 가능한 알뜰교통카드 혜택과 신청방법에 대해 .. 2023. 5. 8.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개편 조건과 신청방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 설계 기반을 마련할 기회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노동시장의 신규 취업한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초기 경력을 형성하고 기업은 우수한 청년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청년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정립하여 청년의 장기근속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오늘 청년내일채움공제 개편 사항에 대해 조건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도 개편 내용 개편사항 2022년 지원 규모 : 신규 7만 명, 2023년 신규 2만 명 (2만 명 도달 시 신규 접수 마감) 지원 요건 대상 : 신규 취업 청년 및 5인 또는 50인 미만 제조업, 건설업종 중소기업 적립 구조 : 2년간 만기금 1,200만 원 (청년 400만 원 + 기업 400만 원 + 정부 400만 원) 주.. 2023. 5. 7.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고용유지지원금 신청방법 알아보세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2023년 청년들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사업입니다. 지원금 한도가 960만 원에서 1200만 원으로 확대되는 등 다양한 변화가 있습니다. 6개월 이상 교용유지 시 최장 2년간 최대 1,200만 원을 지원하며 성장유망업종, 미래유망기업, 고용위기 지역 소재 기업 등 5인미만 기업도 가능합니다.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조건 기업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직전 월부터 이전 1년간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인 기업이며 아래 기업은 1인 이상도 가능합니다. 지식서비스 문화콘텐츠 산재생에너지 산업 미래유망기업 지역 주력산업 고용위기 지역 소재 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우선 지원 대상 기업 사업주 대상으로 소비 향락업 등 업종, 국가 및 공공기관, 임시 .. 2023. 5. 7.
반응형